경제 이야기

상장지수펀드, ETF란? ETF투자 방법

공대 2022. 8. 8. 15:41
반응형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과남편입니다.

오늘은 ETF란 무엇인가, ETF투자 방법은 어떤 것이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ETF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불립니다.

ETF는 특정한 지수의 움직임에 연동해서 운용되는 인덱스 펀드의 일종으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매매됩니다.

지수에 연동되어 수익률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인덱스 펀드와 유사하지만, 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펀드의 구성은 해당 지수에 포함된 상품의 바스켓과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해당 지수보다 변동폭을 크게 만든 레버리지 ETF투자나 해당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면서 수익이 발생하는 리버스 ETA투자가 발행되기도 합니다.

국내에서는 자산운용사가 자사의 브랜드를 붙여, KODEX, TIGER 등의 이름으로 ETF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연계되는 지수는 국내 시장지수뿐 아니라 산업별 지수, 각종 테마지수 등과 해외 주요 국가의 시장지수 및 섹터지수, 그리고 상품 가격지수 등이 연계되어 수없이 많은 ETA투자 상품이 거래소에 상장되어 실시간으로 매매되고 있습니다.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가입 및 환매 절차와 조건이 복잡한 펀드 대신에 실시간으로 소액 매매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최근에는 ETA투자와 유사한 형태의 금융상품인 상장 지수증권(ETN: Exchange Traded Notes)이 상장되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습니다.

ETN은 기초지수 변동과 수익률이 연동되도록 증권회사가 발행하는 파생결합증권으로써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증권입니다.

발행회사인 증권회사는 투자수요가 예상되는 다양한 ETN을 상장시켜 투자자가 쉽게 ETN을 사고팔 수 있도록 실시간 매도, 매수 호가를 공급합니다.

ETF증권과 ETN은 모두 인덱스 상품이면서 거래소에 상장되어 거래된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ETF는 단순하게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구조를 갖는 반면에 ETN은 발행자의 재량에 따라 운용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투자기법이 활용되고 테마주, 변동성, 인프라, 선물, 옵션 등으로 투자대상이 다각도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다만, ETF의 경우에는 자금이 외부 수탁기관에 맡겨지기 때문에 발행기관의 신용위험이 없는 반면 ETN은 발행기관인 증권회사의 신용위험에 노출됩니다.

또한, ETF는 만기가 없는 반면에 ETN은 1~20년 사이에서 만기가 정해져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출처: 대학생을 위한 실용 금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