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과남편입니다.
오늘은 국민경제의순환에 대해 함께 나눠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경제활동은 우리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를 생산, 분배, 소비하는 활동을 말합니다.
가계, 기업, 정부 그리고 외국과 같은 경제활동의 주체들은 시장에서 때로는 공급자로서 때로는 수요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기업은 생산물시장에서는 공급자가 되지만 요소시장에서는 수요자가 되며, 반대로 가계는 생산물시장에서는 수요자가 되지만 요소시장에서는 공급자가 됩니다.
생산물시장은 자동차, 피자, 짜장면, 등산복, 영화와 같이 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서비스가 거래되는 시장이고, 요소시장은 노동력, 자본, 원재료와 같이 생산에 필요한 요소를 거래하는 시장입니다.
생산물 시장이든 요소시장이든 재화나 서비스를 거래하는 과정에서 돈을 지불하거나 수취하게 됩니다.

정부도 시장 경제의순환과정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생산물시장이나 요소시장에 수요자로 참여하기도 하고 공급자로 참여하기도 합니다.
정부는 국방, 치안, 사법제도를 유지하고 국, 공립학교의 운영과 같은 수많은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노동력과 상품을 구입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철도, 도로, 항만과 같은 인프라를 건설하는 데도 많은 예산을 지출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을 고용하는 주체는 정부입니다.
정부는 100만 명이 넘는 공무원과 교사 그리고 60만 국군을 유지하는 데 엄청난 돈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정부는 이런 지출을 충당하기 위해서 다양한 종류의 세금을 거두고 조세수입만으로 재정이 부족할 때는 채권을 발행하여 돈을 빌리게 됩니다.
정부가 발행한 채권을 가계나 기업이 구입할 때에는 정부가 국민들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이 되지만 정부의 채권을 외국에 매각하게 되면 외국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셈이 됩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개방경제시장에서는 생산물시장이나 요소시장에서 외국인이나 외국의 역할도 매우 큰데, 우리 기업이 생산한 생산물을 외국으로 수출하기도 하고 석유, 식량, 원자재 같은 것들은 외국에서 수입하기도 합니다.
특히 스마트폰, 자동차, 텔레비전 그리고 선박과 같은 상품들은 우리 기업이 생산하였지만 우리 국민이 소비하는 것보다 외국에 수출하는 양이 더 많습니다.

그리고 외국인 노동자나 외국 자본들의 유입도 있습니다.
외국 자본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는 금융시장에서 주식이나 채권을 매입할 수도 있지만 회사를 설립하거나 인수하여 직접 운영하는 직접 투자도 존재합니다.
직접 투자는 자본이 들어오는 것뿐만 아니라 기술도 같이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리의 종류 (0) | 2022.08.30 |
---|---|
현대 사회에서의 금융의 기능 (0) | 2022.08.22 |
상장지수펀드, ETF란? ETF투자 방법 (0) | 2022.08.08 |
원천징수란? (0) | 2022.07.28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과 갑종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의 차이점 (0) | 2022.07.25 |
최근댓글